jenkins
![[3주차 - Jenkins CI/ArgoCD + K8S] CI/CD 스터디 (24.12.15)](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eEjcan%2FbtsLqXc8Evj%2FuAqhXkSV7KImmdNcDbuXNk%2Fimg.png)
[3주차 - Jenkins CI/ArgoCD + K8S] CI/CD 스터디 (24.12.15)
들어가며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포스팅은 CloudNet@ 커뮤니티에서 주최하는 CI/CD 스터디 3주 차 주제인 "Jenkins CI/ArgoCD + K8S"에 대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실습환경 구성 이번 주차 스터디에서는 mac OS 기반 docker 환경에서 레포지토리인 Gogs, CI/CD 파이프라인 도구인 Jenkins, 그리고 kind 기반 kubernetes 클러스터를 구성하여 실습을 진행했습니다.실습 컨테이너 설정# 작업 디렉토리 생성 후 이동mkdir cicd-labscd cicd-labs# cat docker-compose.yamlservices: jenkins: container_name: jenkins image: jenkins/jenkins restart: ..
![[1주차] CI/CD 스터디 (24.12.01)](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5O19u%2FbtsK7FK0p4Q%2FpyxlgdWjVHAM8bEDX22EZk%2Fimg.png)
[1주차] CI/CD 스터디 (24.12.01)
들어가며안녕하세요 여러분 벌써 12월이네요!한 해 마무리되어 가면서 조금 더 학습 성취를 이루고자 가시다 님의 스터디에 참여했답니다 :,) 이번 포스팅은 CloudNet@ 커뮤니티에서 주최하는 CI/CD 스터디 1주 차 주제인 "Jenkins CI/CD + Docker"에 대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실습환경 구축실습 환경은 Mac OS 기준 docker와 vscode 위에서 진행하였습니다.Docker Desktop (brew install --cask docker)VSCODE (Docker 플러그인 확장) 1. 컨테이너를 활용한 애플리케이션 개발1. 컴파일 없는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로 배포# 코드 작성mkdir 1.1 && cd 1.1echo "print ('Hello Docker')" > hello..
![[젠킨스(Jenkins)] Jenkins를 이용한 pipeline 구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xOoMP%2Fbtq2XbLpM69%2FPOkNvMtk3jxa8hDUCTB8PK%2Fimg.png)
[젠킨스(Jenkins)] Jenkins를 이용한 pipeline 구축
이번 포스팅에서는 Jenkins를 이용하여 파이프라인(pipeline)을 구축하는 법에 대해서 정리한다. 이전 포스팅에서 다루었던 앤서블(Ansible)을 사용한 Serverspec 테스트를 연결하여 진행한다. Serverspec에 대해서는 아래의 링크에 정리해 두었다. 2021.04.15 - [클라우드 컴퓨팅 & NoSQL] - [앤서블(Ansible)] Serverspec 사용법 [앤서블(Ansible)] Serverspec 사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Serverspec이라는 도구를 앤서블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Serverspec은 인프라(서버) 테스트 수행을 간단하고 쉽게 하기 위한 도구이다. Serverspec - Home About V2 Ser devlos.tistory.co..
![[젠킨스(Jenkins)] Jenkins 프로젝트 생성 및 Build](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sr71d%2Fbtq2P4F8ebI%2FRwM4k85rRUFB3T6Mn47ljK%2Fimg.png)
[젠킨스(Jenkins)] Jenkins 프로젝트 생성 및 Build
이번 포스팅에서는 Jenkins를 이용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자동으로 빌드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루도록 한다. Jenkins 대시보드 우측 상단에 있는 [New Item]을 클릭한다. 그러면 프로젝트 생성페이지가 나온다. 여기서 Enter an item name 에다가 프로젝트 이름을 작성한다. (예제에서는 first_project 라고 프로젝트 이름을 지었다.) 그리고 "Frestyle project"를 선택하고 [OK]를 클릭한다. 다음으로는 "Build" 항목에서 "Add build step"을 누르고 "Execute shell"을 선택한다. Execute shell에 다음처럼 명령어를 작성한다. uname -n pwd ls -l 여기까지 완료하고 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프로젝트가 저장된다. ..
![[젠킨스(Jenkins)] Jenkins 소개 및 설치 방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Dzedw%2Fbtq2OPB8EGI%2Fc6nUAzRqmsVHO1y4X5ejIK%2Fimg.png)
[젠킨스(Jenkins)] Jenkins 소개 및 설치 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Jenkins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정리하고, Jenkins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하도록 한다. 1. Jenkins란? 젠킨스(Jenkins)는 소프트웨어 개발 시 지속적 통합(continuous integration) 서비스를 제공하는 툴이다. 다수의 개발자들이 하나의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버전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각자 작업한 내용을 공유 영역에 있는 Git 등의 저장소에 빈번히 업로드함으로써 지속적 통합이 가능하도록 해 준다. - wiki 젠킨스 (소프트웨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Jenkins는 다음과 같은 작업이 가능하다. 작업을 프로젝트라는 단위로 모아서 쉽게 실행할 수 있음 수작업을 할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