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Devlos Archive

    [3주차(1/2) - k8s Calico CNI] KANS 스터디 (24.09.08)

    [3주차(1/2) - k8s Calico CNI] KANS 스터디 (24.09.08)

    들어가며이번 포스팅은 CloudNet@ 커뮤니티에서 주최하는 KANS 스터디 3주 차 주제인 "Calico CNI"에 대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스터디 내용이 많아 "k8s Calico CNI(1)"와 "k8s Calico CNI mode & 운영(2)"으로 포스팅을 나누어 작성합니다.)Calico란?Calico는 Kubernetes 워크로드와  Kubernetes가 아닌 오픈스택 또는 레거시 워크로드에서 원활하고 안전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킹 및 보안 솔루션입니다. Calico 실습환경 구축 AWS에서 10.x 대역과 20.x대역에 대한 라우터를 내부적으로 처리하는 구성입니다.(서울리전에 테스트 중인 시스템이 있어, ap-northeast-3 [오사카]로 변경하여 진행했습니다.)aws cl..

    [2주차(2/2) - Flannel CNI] KANS 스터디 (24.09.01)

    [2주차(2/2) - Flannel CNI] KANS 스터디 (24.09.01)

    들어가며 이번 포스팅은 CloudNet@ 커뮤니티에서 주최하는 KANS 스터디 2주 차 주제인 "K8S Flannel CNI & PAUSE"에 대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스터디 내용이 많아 "K8S Pause container(1)"와 "K8S Flannel CNI(2)"로 포스팅을 나누어 작성합니다.) [2주차(1/2) - K8S Pause container] KANS 스터디 (24.09.01)들어가며 이번 포스팅은 CloudNet@ 커뮤니티에서 주최하는 KANS 스터디 2주 차 주제인 "K8S Flannel CNI & PAUSE"에 대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스터디 내용이 많아 "K8S Pause container(1)"와 "K8S Flannel CNI(2)devlos.tistory.com  CN..

    [2주차(1/2) - K8S Pause container] KANS 스터디 (24.09.01)

    [2주차(1/2) - K8S Pause container] KANS 스터디 (24.09.01)

    들어가며 이번 포스팅은 CloudNet@ 커뮤니티에서 주최하는 KANS 스터디 2주 차 주제인 "K8S Flannel CNI & PAUSE"에 대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스터디 내용이 많아 "K8S Pause container(1)"와 "K8S Flannel CNI(2)"로 포스팅을 나누어 작성합니다.)  쿠버네티스 딥다이브Docker의 컨테이너 실행 관련 계층 구조 주요 컴포넌트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Docker Client: 사용자는 Docker 클라이언트를 통해 Docker와 상호작용하며, Docker 데몬과 Socket/API를 통해 통신합니다.Docker daemon: Docker daemon(dockerd)은 Docker API 요청을 처리하고 이미지, 컨테이너, 네트워크, 볼륨과 ..

    [1주차(2/2) - 컨테이너 네트워크 & IPTables] KANS 스터디 (24.08.25)

    [1주차(2/2) - 컨테이너 네트워크 & IPTables] KANS 스터디 (24.08.25)

    들어가며이번 포스팅은 CloudNet@ 커뮤니티에서 주최하는 KANS 스터디 1주 차 주제인 "컨테이너 격리 & 네트워크 및 보안"에 대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스터디 내용이 많아 "도커 컨테이너 격리"와 "컨테이너 네트워크 & IPTables"로 포스팅을 나누어 작성합니다.) 이전 스터디 링크 - https://devlos.tistory.com/91 [1주차(1/2) - 도커 컨테이너 격리] KANS 스터디 (24.08.25)들어가며이번 포스팅은 CloudNet@ 커뮤니티에서 주최하는 KANS 스터디 1주 차 주제인 "컨테이너 격리 & 네트워크 및 보안"에 대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스터디 내용이 많아 "도커 컨테이너 격리"와devlos.tistory.com도커 없이 네트워크 네임스페이스 환경에서 ..

    [1주차(1/2) - 도커 컨테이너 격리] KANS 스터디 (24.08.25)

    [1주차(1/2) - 도커 컨테이너 격리] KANS 스터디 (24.08.25)

    들어가며이번 포스팅은 CloudNet@ 커뮤니티에서 주최하는 KANS 스터디 1주 차 주제인 "컨테이너 격리 & 네트워크 및 보안"에 대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스터디 내용이 많아 "도커 컨테이너 격리"와 컨테이너 네트워크 & IPTables로 포스팅을 나누어 작성합니다.) 실습환경 구성#가시다님의 실습환경 세팅 정보curl -O https://s3.ap-northeast-2.amazonaws.com/cloudformation.cloudneta.net/kans/kans-1w.yamlaws cloudformation deploy --template-file kans-1w.yaml --stack-name mylab --parameter-overrides KeyName=devlos SgIngressSshCi..

    [8주차 - OpenTofu ] T101 4기 스터디 (24.07.28)

    [8주차 - OpenTofu ] T101 4기 스터디 (24.07.28)

    FINAL 들어가며이번 스터디에서는 Terraform을 오픈소스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OpenTofu에 대해 학습했습니다.IaC의 핵심 언어인 Terraform이 BUSL 형태로 변경되어서, 고민하고 있던 차에 스터디에서 새로운 해결책을 발견한 것 같아 기뻤습니다.  OpenTofu란?작년 8월 Terrfarom 라이선스가 MPL(Mozilla Public License)에서 BUSL(Business Source License)로 변경되며, 오픈소스 버전인 OpenTofu가 개발되었습니다. OpenTofu에서 HashiCorp가 2023년 8월 10일 Terraform의 라이선스를 오픈 소스 라이선스(MPL)에서 비오픈 소스 라이선스인 Business Source License(BUSL)로 전환한 것에..

    [7주차 - 테라폼으로 AWS EKS 배포 ] T101 4기 스터디 (24.07.21)

    [7주차 - 테라폼으로 AWS EKS 배포 ] T101 4기 스터디 (24.07.21)

    들어가며이번 스터디에서는 Terraform을 통해 AWS EKS를 배포하는 방법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이전 AWES 스터디에서는 EKS에 대해 깊게 학습했지만, Terraform과 각각 스터디를 진행하여 구축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하지만 두 가지 기술 모두 향후 회사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기술이라,  스터디를 통해 조금이라도 더 이해해 보고 사용하자는 취지로 집중하여 스터디에 임했습니다. 역시.. 유용한 Best Practice들을 많이 체험할 수 있었습니다.  Amazon EKS Blueprints for Terraform이 프로젝트는 Terraform으로 구현한 EKS 클러스터 패턴 컬렉션을 통해 개발자들이 빠르게 콘셉트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 고객이 Amazon EKS를 쉽게 도입할 수 있게 하는..

    [6주차 - Well-Architected 방식으로 워크로드를 안전하게 마이그레이션 및 현대화하기 Workshop ] T101 4기 스터디 (24.07.14)

    [6주차 - Well-Architected 방식으로 워크로드를 안전하게 마이그레이션 및 현대화하기 Workshop ] T101 4기 스터디 (24.07.14)

    들어가며이번 스터디는 HashiCorp 사의 엔지니어이자, T101 3기 스터디 리딩을 해주신 유형욱 님께서 진행하는 특별 세션이었습니다. AWS Workshop Event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사전에 참여자들의 정보를 통해 직접 한 땀 한 땀 실습을 기획하고 배포를 해주셨습니다.  ... Shout out, 형욱 님! 지난 스터디에서 TFC를 통해 이것저것 해보았기 때문에, 복기(?) 차원에서 들어봐야겠다고 생각했는데 신세계를 맛본 기분이었습니다. Terraform을 이용하여 거버넌스 관리까지 가능하다는 것을 느끼며, IaC 기술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절실히 깨닫게 되었습니다. 형욱 님께서 빠르게 워크숍을 진행할 수 있도록, 여러 과정을 자동화해 주셔서 많은 관점에 대한 실습을 빠르게 진행하며 콘셉트를..

    [5주차 - 모듈 & Runner] T101 4기 스터디 (24.07.07)

    [5주차 - 모듈 & Runner] T101 4기 스터디 (24.07.07)

    들어가며* 본 스터디의 자료는 아래의 책을 기반으로 합니다.테라폼으로 시작하는 IaC | 김민수, 김재준, 이규석, 이유종 | 링크 테라폼으로 시작하는 IaC | 김민수 - 교보문고테라폼으로 시작하는 IaC | 현업에서 요구하는 진짜 IaC 사용법 테라폼으로 배우는 인프라 운영의 모든 것IaC는 효율적인 데브옵스와 클라우드 자동화 구축을 위해 꼭 필요한 기술로 각광받고 있product.kyobobook.co.kr 이번 주차에서는 테라폼 모듈과 Runner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지난 스터디와 다르게 Runner 파트에서는 Atlantis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GitOps처럼 comment를 통해 repository에 저장된 테라폼 코드를 기반으로 프로비저닝 하는 법을 배웠는데 너무 신기했습니다. 여러 명과 ..

    [4주차 - Provider & State] T101 4기 스터디 (24.06.30)

    [4주차 - Provider & State] T101 4기 스터디 (24.06.30)

    들어가며* 본 스터디의 자료는 아래의 책을 기반으로 합니다.테라폼으로 시작하는 IaC | 김민수, 김재준, 이규석, 이유종 | 링크 테라폼으로 시작하는 IaC | 김민수 - 교보문고테라폼으로 시작하는 IaC | 현업에서 요구하는 진짜 IaC 사용법 테라폼으로 배우는 인프라 운영의 모든 것IaC는 효율적인 데브옵스와 클라우드 자동화 구축을 위해 꼭 필요한 기술로 각광받고 있product.kyobobook.co.kr  이번 주차에는 프로바이더와, 테라폼 스테이트 관리 기법, 테라폼 백엔드, 그리고 워크스페이스 관리 방법에 대해서 학습했습니다. 블로그를 작성하면서 사내에서 스터디를 같이 하시는 분들과 과제 진도 이야기도 하고, 테라폼 적용에 대해서 편하게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었습니다. 아무래도 작년에는 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