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los Archive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Container Orchestration)이란?
이번 포스트에서는 RedHat에서 정의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Container Orchestration)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다.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컨테이너의 배포, 관리, 확장, 네트워킹을 자동화 하는 기술을 말한다. 1.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이 사용되는 분야 프로비저닝 및 배포 설정 및 스케줄링 리소스 할당 컨테이너 가용성 증가 인프라 전반의 워크로드 밸런싱을 기반으로 컨테이너 스케일링 또는 제거 로드 밸런싱 및 트래픽 라우팅 컨테이너 모니터링 실행될 컨테이너를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 설정 컨테이너 간 보안유지 2.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툴 Docker Swarm Apache Mesos 쿠버네티스(Kubernetes) 3.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의 작동 방식 쿠버네티스와 같은 컨테이너 오..

쿠버네티스(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7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 공식 튜토리얼 마지막 단계인 6단계를 실습해 보도록 한다. 2021.04.04 - [클라우드 컴퓨팅 & NoSQL] - 쿠버네티스(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6 쿠버네티스(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6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 공식 튜토리얼 5단계를 실습해 보도록 한다. 2021.04.03 - [클라우드 컴퓨팅 & NoSQL] - 쿠버네티스(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5 쿠버네티스(Kubernetes) 공식 튜토리 devlos.tistory.com 튜토리얼 모듈 6은 "Performing a Rolling Update"에 관한 것이다. 이번 시나리오의 목표는 deploy된 애플리케이션을 Kubectl set imagne로 ..

쿠버네티스(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6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 공식 튜토리얼 5단계를 실습해 보도록 한다. 2021.04.03 - [클라우드 컴퓨팅 & NoSQL] - 쿠버네티스(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5 쿠버네티스(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5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 공식 튜토리얼 4단계를 실습해 보도록 한다. 2021.04.02 - [클라우드 컴퓨팅 & NoSQL] - 쿠버네티스(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4 쿠버네티스(Kubernetes) 공식 튜토리 devlos.tistory.com 튜토리얼 모듈 5는 "Running Multiple Instances of Your App"에 관한 것이다. 쿠버네티스 kubectl scale을 이용하여 Depolyment를 확장하고 로드벨..

쿠버네티스(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5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 공식 튜토리얼 4단계를 실습해 보도록 한다. 2021.04.02 - [클라우드 컴퓨팅 & NoSQL] - 쿠버네티스(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4 쿠버네티스(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4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 공식 튜토리얼 3단계를 실습해 보도록 한다. 2021.04.01 - [분류 전체보기] - 쿠버네티스(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3 쿠버네티스(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3 이 devlos.tistory.com 튜토리얼 모듈 4는 service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expose 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1. kubectl get pods 실행 $ kubectl get pods 이전 포스트에서 언급했드..

쿠버네티스(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4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 공식 튜토리얼 3단계를 실습해 보도록 한다. 2021.04.01 - [분류 전체보기] - 쿠버네티스(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3 쿠버네티스(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3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 공식 튜토리얼 2단계를 실습해 보도록 한다. 2021.04.01 - [분류 전체보기] - 쿠버네티스( 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2 쿠버네티스( 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2 이 devlos.tistory.com 튜토리얼 모듈 3는 kubectl 을 이용하여 Kubernetes 어플리케이션의 trubleshooting을 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1. kubectl get 실행 $ kubectl get pods Kube..

쿠버네티스(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3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 공식 튜토리얼 2단계를 실습해 보도록 한다. 2021.04.01 - [분류 전체보기] - 쿠버네티스( 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2 쿠버네티스( 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2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서 소개했던 쿠버네티스 공식 튜토리얼 2021.03.31 - [클라우드 컴퓨팅 & NoSQL] - 쿠버네티스( 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1 쿠버네티스( 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1 쿠버 devlos.tistory.com 튜토리얼 모듈 2는 쿠버네티스에 App을 deploy 하는 기능에 대한 것이다. 1. kubectl version 클릭 $ kubectl version 다음으로 kubectl의 버전을 확인하는 명령어를 ..

쿠버네티스( 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2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서 소개했던 쿠버네티스 공식 튜토리얼 2021.03.31 - [클라우드 컴퓨팅 & NoSQL] - 쿠버네티스( 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1 쿠버네티스( 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1 쿠버네티스 공식 도큐먼트를 확인하다가 6가지의 기초 튜토리얼 과정을 소개한다. 대화형 튜토리얼을 사용해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배울 수 있다. 컨테이너화 된 애플리케이션을 클러스터에 배 devlos.tistory.com 중에서 클러스터 생성하기를 실습해 보도록 한다. 1. 실습하기 선택 다음 그림과 같이 대화형 튜토리얼 시작하기 버튼을 누르면 가상의 CLI 환경이 보인다. 첫 번째 모듈은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실행하는 과정을 실습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한다. 터미널 창에 ..

쿠버네티스( 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1
쿠버네티스 공식 도큐먼트를 확인하다가 6가지의 기초 튜토리얼 과정을 소개한다. 대화형 튜토리얼을 사용해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배울 수 있다. 컨테이너화 된 애플리케이션을 클러스터에 배포하는 법 디플로이먼트 스케일링하기 컨테이너화 된 애플리케이션을 새로운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기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 디버그 하기 환경: Minikube 본 튜토리얼을 활용하면 지금까지 학습한 개념들을 체감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다. 서버를 준비할 필요 없이 브라우저 CLI 환경으로 튜토리얼 진행 가능하다. 다음 글에서 튜토리얼을 진행내용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2021.04.01 - [분류 전체보기] - 쿠버네티스( 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2 쿠버네티스( Kubernetes) 공식 튜토리얼 #2 이번 포스팅에..

쿠버네티스 컴포넌트(component)
쿠버네티스의 아키텍처를 이해하기 위해 공식 설명자료에 있는 도식을 여러 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해 보았다. 역시 여러 문헌을 참고하다보니 애매모호한 부분이 많이 사라지는 것 같다. 다음은 새로 정리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다이어그램이다. 공식 문서에는 더욱 자세한 내용이 있으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참고자료 [1] kubernetes.io | Kubernetes Component | 링크 Kubernetes Components A Kubernetes cluster consists of the components that represent the control plane and a set of machines called nodes. kubernetes.io [2] 15단계로 배우는 도커와 쿠버네티스 | 타..

퀀트(Quant) 란?
최근 퀀트(Quant)라는 용어에 흥미가 생겼다. 먼저 퀀트의 사전적인 의미는 다음과 같다. 퀀트(Quant) 계량 분석가 수학적 모델 기반의 계량분석기법을 활용하는 금융분석가 수학, 통계학을 응용하여 금융상품의 적절한 가격을 매기거나 금융상품에 투자 - 제타위키 사실은 약 1년 전부터 흥미가 있었던 키워드인데.. 한창 20~30대 층 사이에서 주식이 핫해지면서 퀀트라는 용어를 처음 알게 되었고, 우발적으로 타임퍼센트님의 AI 자동 투자 봇 만들기 인강을 구매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회사 업무를 봐야 하기 때문에 일주일에 한두 시간씩 투자하면서 거의 40% 정도 수강을 했고, 지금은 초급 수준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을 어느 정도 알게 된 상태이다. 사실 이 강의를 수강하면서 주식에 대한 이해를 하는 것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