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los Archive
![[도커(Docker)] 도커 컴포즈(Docker compose) 사용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0UsfX%2Fbtq2LkDsbyd%2FTyPkp5vX0h6bQy0KG2USd1%2Fimg.png)
[도커(Docker)] 도커 컴포즈(Docker compose) 사용법
이번 포스팅의 주제는 도커 컴포즈(Docker Compose)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Overview of Docker Compose docs.docker.com 도커 컴포즈는 여러대의 컨테이너 Docker 애플리케이션을 정의하고 실행하기 위한 도구다. YAML 파일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구성한다. 1. 도커(Docker) 설치 # 도커 설치 $ sudo yum install -y docker # 도커 서비스 시작 $ sudo systemctl start docker.service # 도커에 로그인 $ docker login 2. 도커 컴포즈(Docker compose) 설치 # root 계정으로 진입 $ su # 도커 컴포즈 설치 $ curl -L "https://github.co..
![[앤서블(Ansible)] Serverspec 사용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nAQNr%2Fbtq2DrW4Azb%2FAqgf1lsxhARr0IyHTuFWl1%2Fimg.png)
[앤서블(Ansible)] Serverspec 사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Serverspec이라는 도구를 앤서블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Serverspec은 인프라(서버) 테스트 수행을 간단하고 쉽게 하기 위한 도구이다. Serverspec - Home About V2 Serverspec/Specinfra v2 has been just released. See the document about v2. About With Serverspec, you can write RSpec tests for checking your servers are configured correctly. Serverspec tests your servers’ actual state by executing command loca serverspec.org Server..
![[앤서블(Ansible)] ansible-playbook dry-run 모드](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sJhk9%2Fbtq2ETrKQcn%2FQ7qPLiZuibANDXkuKQpTZ0%2Fimg.png)
[앤서블(Ansible)] ansible-playbook dry-run 모드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전 포스팅에 다뤘던 주제인 ansible-playbook 명령어 사용법에 이어서, dry-run 모드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Dry-run 모드는 실제로 인프라를 배포하기전에 앤서블을 체크 모드로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환경에 변경된 템플릿을 반영하는것이 불안하고, 어떤 변화가 예상되는지 확인할 경우 유용하게 쓰인다. 실행할 경우 어디가 변경되는지 미리 표시해주는 기능까지 제공된다. 1. dry-run 모드 실행하기 $ ansible-playbook -i development site.yml --check --diff dry-run 모드를 실행한 결과 TASK들에 대한 상태가 모두 바뀌지 않았음이 확인된다. 2. index.html파일 수정 후 dry-run 모드 실..
![[앤서블(Ansible)] ansible-playbook 사용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gyYH5%2Fbtq2ytTyFv5%2FgKG5Sk2V8rmpKH8zSAtPy1%2Fimg.png)
[앤서블(Ansible)] ansible-playbook 사용법
이번 포스팅의 주제는 ansible-playbook의 사용법에 대한 내용이다. Ansible playbook은 반복, 재사용 가능하며 구성 관리 및 다중 머신의 설정, 배포 시스템을 제공하는 언어다. YAML 형식으로 되어있다. 이전 포스팅에서 정리했듯이 본래 앤서블로 실현하고 싶은 것은 다음의 3가지다. 환경 설정 및 구축 절차를 통일된 형식으로 기술할 수 있음 매개 변수 등 환경의 차이를 관리할 수 있음 실행 전에 변경되는 부분을 파악할 수 있음 위의 내용들을 예제를 통해 확인해보도록 한다. 1. Git 설치 $ sudo yum -y install git 2. ansible-playbook-sample 다운로드 $ git clone https://github.com/devops-book/ansible..
![[앤서블(Ansible)] Ansible의 기본적인 사용법 (nginx)](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rOZrp%2Fbtq2uaM3kmL%2FsikLGT5kH2aEhAhksMu5Fk%2Fimg.png)
[앤서블(Ansible)] Ansible의 기본적인 사용법 (nginx)
DevOps 학습을 진행하면서 앤서블(Ansible)이라는 툴에 대한 언급이 계속 나온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앤서블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사용되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앤서블은 여러 개의 서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고안된 인프라 구성 관리 도구이다. 인프라 구성 관리도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선언적 구성 정보에 의해 설정 대상의 "상태"가 명확히 기재되고,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을 의미. 선언적이라는 것은 "서버가 어떤 상태로 존재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어떻게 하고 싶은 것인가 하는 작업을 기술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것이다. service: name: nginx state: started 위와 같은 표현은 누가봐도 "nginx를 실..

도커 컨테이너(Docker container) 빌드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간단하게 도커 컨테이너 빌드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하도록 한다. 컨테이너 빌드 순서 컨테이너 빌드하는 실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디렉터리를 준비하여 이미지에 포함시킬 파일들을 모음 *Dockerfile을 작성 컨테이너에서 실행할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작성하고 유닛 테스트를 실행 이미지를 빌드 컨테이너를 실행하고 동작을 확인 * Dockerfile: 도커 이미지를 빌드하는 스크립트 파일로써,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베이스 이미지의 repository 설치할 패키지 애플리케이션 코드와 설정 파일 컨테이너 기동 시 실행될 명령어 1. 작업 파일 만들기 컨테이너를 빌드하기 위해서 먼저 작업 파일을 만든다. 예제에서 작업 파일 이름은 'Step03'으로 만들었다. $ mkdir Step03..

도커, 쿠버네티스 Cheat Sheet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늘 도커와 쿠버네티스를 공부하면서 치트 시트를 소개하도록 한다. 도커, 쿠버네티스 명령어 치트 시트 링크 도커, 쿠버네티스 명령어 치트시트 Docker 도커 명령어 치트시트 기능,커맨드 실행 예,설명 컨테이너 환경 표시,docker version,도커 클라이언트와 서버 버전 표시 docker info,구체적인 환경 정보 표시 컨테이너 이미지 빌드,docker build -t 리 docs.google.com 도커와 쿠버네티스를 학습하면서 컨테이너를 다루기 위한 개념 정리와 사용되는 명령어들을 학습 중이다. 학습하면서 만나게 되는 다양한 명령어 예제를 치트 시트에 계속 업데이트하려고 한다. 공식 사이트에 도커와 쿠버네티스 명령어들이 잘 정리되어 있지만, 나만의 명령어 치트 시트를 만들어놓..

도커(Docker) docker run <image>의 실행순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docker run 의 작동원리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docker run 명령어에는 여러 가지 옵션이 있지만, 제일 기본적인 명령은 이미지를 이용해 컨테이너를 바로 동작시키는 것이다. 아래의 명령어를 이용하여 hello-world를 실행시켜 보도록 한다. $ docker run hello-world 아무 옵션을 주지않고, docker run hello-world를 실행하면 위와 같은 실행결과를 얻을 수 있다. 출력되는 내용을 요약하자면 hello-world라는 이미지를 로컬에서 찾을 수 없어서, 최신 hello-world 이미지를 풀링 한 다음 실행한다는 것이다. 위의 과정을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Docker CLI가 "run" 명령을 받고 docker server..

도커(Docker)를 사용하는 이유
이번 포스팅은 도커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도커를 사용하는 이유를 알기 위해서 반적인 소프트웨어 설치방식을 이해해야 한다.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설치방식은 다음 그림과 같다. 어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위해서 우리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실행한다. 설치를 하다가 오류가 발생하면 스택오버플로우나 구글 검색을 통해서 오류 해결방법을 찾아내서 적용한다. 그리고 인스톨을 계속 실행하다가 다른 에러를 만나게 된다. 그러면 이전과 같이 오류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계속 검색해야 하고, 이 과정은 소프트웨어가 잘 설치될 때까지 반복된다. 도커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설치나 의존성에 대한 걱정 없이 쉽게 소프트웨어를 설치, 실행할 수 있도록 함 이것이 도커를 사용하는 이유이다. 필자는 소프..

DevOps란?
이번 포스트에서 다루는 주제는 DevOps 기술에 대한 배경지식이다. DevOps란? Dev(개발팀) + Ops(운용팀)이 긴밀히 협조하여 비즈니스 측면 가치를 높이는 근무방식과 문화를 의미한다. DevOps 문화가 생긴 배경은 다음과 같다. 최신 서비스들은 짧은 기간에 기능 추가나 개선에 대한 요구사항들이 발생하고 이를 대응해야 한다. 애자일(Agile) 개발 기법은 소규모 개발을 전제로 필요한 최소한의 요건들을 적용하여 Release를 하고 고객의 피드백을 반영하며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개선되는 개발 기법이다. 애자일 방식으로 개발을 하다 보니 애플리케이션이 빠르게 Release 되어서 좋은데, 운용 환경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운영팀이 추구하는 것은 서비스의 안정화이기 때문이다..